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탈북자문제의 이해

남과 북의 직업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0773

직업이란 생계의 유지, 개성의 발휘 및 자아의 실현, 사회적 역할의 분담을 목적으로 계속적으로 행해지는 노동 또는 일이다. 즉 생계를 위하여 일상적으로 하는 일을 말한다.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적성 및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합리적인 직업을 선택한다. – 남과 북의 직업차이 북한에서 개인의 직업선택에 [...]

남한과 북한의 명칭 비교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2113

근로인테리 – 사무원 동의사 – 한의원 부기원 – 경리원 / 회계원 안전원 – 경찰 어로공 – 어부 / 선원 은행경제사 – 은행원 전화수 – 전화교환원 접대원 – 식당 혹은 숙박서비스 종업원 정무원 – 공무원 편의봉사원 – 식당, 여관, 목욕탕 등의 종업원 피복공장노동자- 봉제공 / 재봉사

직업 분류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400

- 직업 분류의 개념 경제 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이 직업분류이며, 국내 직업구조 및 실태에 맞도록 표준화한 것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는 직업들을 크게 11개로 대분류하고 있다. – 한국표준직업의 대분류 ①의회의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법률과 규칙을 제정하고 정부를 대표, 대리하며 정부 및 특수이익단체의 정책을 결정하고 이에 [...]

직업 선택시 고려사항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805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그 중요성이 높아지는 직업과 사회적 변동과 산업구조의 변화로 멀지 않은 장래에 눈에 띄게 성장할 것이 예견되는 직업을 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적성과 흥미, 인성, 교육정도, 자격취득 여부, 가정적 배경 등 본인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업생활의 질을 고려하여 직업을 선택한다. ①일의 내용: 관리직, 생산직, 연구직 ②발전 가능성: 교육 및 훈련의 기회, 승진의 [...]

취업관련법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411

- 노동법 노동법은 근로자의 근로관계를 대상으로 하며 근로자에게 그의 생존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① 근로 3권 본인의 의무를 다 한 후에 주장할 수 있는 권리이며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의 테두리 내에서 적법하게 주장하는 경우에만 근로 3권을 보호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원만한 합의를 우선으로 한다. ② 직업안정법 취업은 스스로 [...]

직업훈련지원제도 안내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687

- 직업훈련의 필요성 사용자는 직업능력이 있는 사람을 근로자로 사용하려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직업을 가져야 하는데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직업능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직업훈련을 받아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은 노동부 고용안정센터의 북한이탈주민 취업보호담당자에게 직업훈련을 신청하여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다. –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자격 북한이탈주민의 거주지보호기간 중 직업훈련을 [...]

국가기술자격 안내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303

-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 검정은 국가가 개인의 기술·기능의 정도를 평가하여 그 능력이 일정한 수준에 있음을 공인하여 주는 제도이다. 직업훈련을 받더라도 소정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 기술자격 등급 국가기술자격은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등급별로 국가기술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요건이 정해져 있다. – 국가기술자격의 운영체계 현재 국가기술자격은 정부의 15개 [...]

북한 자격 인정 및 자격 취득자에 대한 우대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279

- 직업심리 검사의 목적 직업심리 검사는 자기 자신의 내적 조건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무리 좋고 멋진 직업이라 하더라도 나의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는다면 그 일에 종사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직업심리검사는 본인의 적성과 흥미, 성격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인에게 흥미 있는 일이라면 [...]

취업보호제도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252

- 취업보호제도 설명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사장)에게 정부가 임금의 절반(최대 70만원)을 고용지원금으로 2년 동안 지원하는 제도이다.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사업주는 사업장 소재지 노동부 지방사무소에 이를 신고하여 지원금을 수령하게 된다. 북한이탈주민은 2년간 취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여 2년 후에도 안정된 직장생활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 취업보호제도의 목적이다. 스스로 직무능력과 경쟁력을 향상시켜 남한의 노동시장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

직업심리 검사의 활용

Posted by on 2006-03-19 in 탈북자길라잡이:취업, 통일방송연구발간물조회수: 1516

- 직업심리 검사의 목적 직업심리 검사는 자기 자신의 내적 조건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무리 좋고 멋진 직업이라 하더라도 나의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는다면 그 일에 종사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직업심리검사는 본인의 적성과 흥미, 성격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인에게 흥미 있는 일이라면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