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공연예술에서 희극 장르 현황
북한사회와 같이 국가통제가 강한 나라에도 코미디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웃음이 없는 사회가 있을 수 없듯이 북한에도 희극적 공연예술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해 있다.
북한 연극을 대표하는 5대 혁명연극도 희극적인 작품을 주를 이루고 있다. 이준 열사의 헤이그 밀사 사건을 다루고 있는 〈혈분만국회〉만 비극에 속하고, 〈성황당〉, 〈3인 1당〉, 〈경축대회〉, 〈딸에게서 온 편지〉 등 네 작품이 풍자와 해학을 주된 정서로 하는 희극계열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북한 코미디 중에서 가장 유행하는 것은 경희극이다. 일찍이 1960년대 초 연극 〈산울림〉의 성과 이래, 오늘날까지 가장 인기 있는 연극 장르로 성장한 것이 경희극이다. 경희극이란 이름 그대로 신랄한 비판보다는 가벼운 웃음을 주조로 하고 있다. 적대적인 세력 사이의 풍자보다는 동지적 비판을 기초로 한 해학적 웃음이 주조를 이루게 된다는 것이 북한의 설명이다.
경희극은 국립연극단과 같은 정통 연극단체에서도 공연하고 있지만, 주로 조선예술영화촬영소나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등 영화창작단체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김정일시대 경희극 공연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는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조선2.8예술영화촬영소 후신)이다. 이 영화촬영소에서는 〈약속〉(1996), 〈축복〉(1997), 〈편지〉(1998), 〈동지〉(1999), 〈웃으며 가자〉(2000), 〈철령〉(2003) 등의 히트작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영화촬영소에는 영화배우를 포함한 영화창작단이 소속되어 있는데,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영화배우들이 경희극 무대를 창조하여 정기공연 또는 전국 순회공연 등을 함으로써 주민에 대한 위로와 화합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95년에는 아예 희극만을 전담하는 공연단체를 새로 설립하였다. 그만큼 희극의 수요가 많고, 또 북한당국의 정책적 필요가 제기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소위 ‘고난의 행군’ 시대를 헤쳐 나가는 과정에서 주민에게 위안을 제공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데 희극의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했던 것 같다.
그런데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의 경희극이 장막 위주라면, 국립희극단의 공연작품은 촌극·막간극(사이극)·독연·무언극·만담·재담 등 다양한 소품공연이 주를 이루고 있다. 소품공연이란 출연 인원 1~5인, 상연시간 5~15분 정도의 작은 공연을 말한다. 소품공연은 극장에서의 공연 외에도 다양한 장소에서 기동적으로 펼쳐지는 경제선동 공연에 적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희극단의 공연 레파토리는 연간 20여 편으로 다소 많은 편인데, 이는 작품의 길이가 짧은 것과 관계되어 있다. 주요 장르를 보면 1인이 출연하여 여러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아서 하는 독연(남한의 모노드라마와 유사)이 있다. 같은 독연 중에서도 노래를 사용하거나 풍자의 내용이 주가 되는 것은 별도로 노래독연, 풍자독연 등으로 분류된다. 역시 출연자 혼자서 여러 사람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르 가운데 연극이 아닌 구연의 형태로 펼쳐지는 것이 만담이다. 북한의 만담은 일제강점기에 최고의 만담가로 명성을 떨쳤던 신불출(1907~1969)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오늘날의 북한 만담은 미국과 남한 사회를 풍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만담은 구연형식인 만큼 방송매체에서도 즐겨 사용되고 있다. 재담은 두 사람이 주고받는 대화형식의 소품공연으로 재치 있고 기지 있는 말로 엮어지며 명랑한 웃음 및 풍자와 해학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 공연 작품과 작품 사이에 상연되는 사이극(막간극)이나 촌극, 대사 없이 배우의 몸동작과 얼굴표정만으로 작품의 내용을 보여주는 무언극도 국립희극단의 주요 레파토리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부터는 재담극이나 노래대화극도 등장하는데, 모두 출연자 5인 이내의 소품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장르 | 연간 공연작품 수(편) | 계 | 비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독연 | 12 | 6 | 7 | 25 | 1인 출연 |
노래독연 | 2 | 3 | 2 | 7 | 1인 출연 |
풍자독연 | 1 | 1 | 1 | 3 | 1인 출연 |
만담 | 4 | 1 | 0 | 5 | 1인 출연 |
재담 | 4 | 0 | 3 | 7 | 2인 출연 |
무언극 | 1 | 1 | 0 | 2 | 2인 출연 |
막간극 | 1 | 3 | 0 | 4 | 1~2인 출연 |
촌극 | 2 | 7 | 6 | 15 | 2~5인 출연 |
재담극 | - | - | 3 | 3 | 2~3인 출연 |
풍자극 | - | - | 1 | 1 | 3인 출연 |
노래대화극 | - | - | 1 | 1 | 3인 출연 |
기타3중주 | - | - | 1 | 1 | 3인 출연 |
합창시 | - | - | 1 | 1 | 4인 출연 |
합계 | 27 | 22 | 26 |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