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이후 북한영화의 경향
2002년 북한 정부는 상품가격의 현실화, 생활비(임금)의 차등화, 배급제 폐지 등의 내용을 담은 ‘7․1경제관리 개선조치’를 발표했다. 7·1조치이후 사업소별로 독립채산제가 실시되었고 이는 영화창작에서의 ‘경제적 효과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후 북한에서는 “사회주의분배에서 평균주의를 극복하고..(중략) 예술인들에게 창작과제를 명백히 알려주고 그 수행결과에 따라 분배몫이 차례지게 해야”하며 “창작가, 예술인들에게 창작의 결과에 따라 분배를 받는 사회주의 사회에서 공짜가 있을 수 없다는 교양사업을 강화하고..(중략) 재정지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라고 영화계에 요구하고 있다. 계속해서 2008년에도 영화촬영소를 “예술창작기관인 동시에 생산기업소”로, 영화보급기관을 “선전선동기관이면서 동시에 류통기업소”라고 변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북한영화의 발전이 지체된 데에는 흥행이나 상영과 관련해 경제관념이 적어 작품의 질과 대중성에 대한 의식이 적었던 것이 한 원인이었다. 그런데 이제 영화창작기관을 생산기업소로 인식했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관념을 가지게 되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북한에서 7.1조치이후 재정총화(회의)제도, 재정 공개제도, 현실적 조건에 맞는 장려금제의 실시가 요구되었다. 이는 마치 공장이나 기업소에서 노동의 질과 양에 따라 평가하고 이에 따라 임금에 차별을 두듯 영화제작인력도 기여도와 성과에 따라 임금과 인센티브를 책정하겠다는 것이다. 이로써 영화제작에서 경제적 이익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북한에서는 ‘실력전의 된바람’이라고 일컫고 있다. ‘실력전의 된바람’이 암시하는 것은 안일하다고 여겨질 만큼 변화가 느리던 북한 영화계가 7.1 조치 이후 그만큼 거센 폭풍을 맞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력전의 된바람’의 결과 오히려 북한영화의 제작편수는 줄어들고 있다. 평균 20편정도 제작되던 북한의 예술영화가 2004년 10편, 2005년 10편, 2006년 4편 2007년 2편, 2008년 3편만 제작된 것이다. 제작편수의 감소는 북한영화계가 일종의 조정국면에 들어선 것을 암시하는 것인데 어쨌든 “실력전을 벌여야 혁신이 일어난다”는 인식 아래 현재 북한 영화계는 제작과 배급에 있어서 재정적 책임과 실리의 획득이라는 홍역을 앓고 있는 중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 : 이명자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