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종합체육단(국가대표팀)


 


2008년 3월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북한 체육단 축구선수 중 60%가 세대교체가 되어 북한 축구선수가 아주 젊어졌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그런데 북한기사를 보다 보면 압록강팀, 4.25체육단, 기관차체육단 식으로 이름이 붙은 체육단도 있다.


북한은 체육단이란 말과 선수단이란 말을 같이 쓴다. 이런 체육단은 1급 선수단, 2급 선수단, 3급 선수단으로 구분된다. 조선중앙연감에 따르면 1급 선수(체육)단은 수십 개, 2급 선수(체육)단이 수백 개, 3급 선수(체육)단(각 공장, 기업소, 기관에 조직된 선수단)이 수백 개라고 한다. 여기서 1급은 일정 규모나 조직 역량을 기준으로 북한이 기관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기준 중 하나이다. 1급 체육단은 종목수, 선수수(600명 이상) 및 경기력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체육단이다. 2급은 이보다 낮고 3급은 더욱 낮은 선수단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1·2·3급보다는 중앙체육단, 도(직할시)체육선수단, 겸직체육선수단이란 구분이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중앙체육단은 모두 1급 체육단이며 도(직할시)체육단은 일부만 1급 체육단이고 나머지는 2급 체육단이라고 한다. 중앙체육단은 대부분 남한의 실업팀처럼 특정 정부기관(철도부, 경공업성 등)이 선수단을 운영하고 4.25체육단의 경우는 군(軍)이 운영한다. 4·25체육단, 압록강체육단, 기관차체육단 등 20여 개의 체육선수단이 여기에 포함된다. 신문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북한에서 내노라하는 중앙체육단은 다음과 같다. 4·25체육단은 인민무력부가 운영하는 체육단이고 압록강체육단은 경찰청에 해당하는 북한의 안전부의 지원을 받는 체육단이다. 기관차체육단은 북한 철도청에 소속된 체육단이다. 이들 3개 체육단은 1급 체육단이기 때문에 국가체육지도위원회로부터 직접 감독을 받는다. 이외에 유명한 중앙단위 체육단으로는 봉화산 체육단이 이름을 바꾼 것으로 북한 수뇌의 경호실 소속 체육단인 리명수체육단, 북한의 육군사단이 운영하는 매봉산체육단, 월비산체육단, 오성산체육단, 반룡산체육단이 있고 공군이 운영하는 제비체육단이나 해군이 운영하는 갈매기체육단이 있다.


도(직할시)체육단은 2급 체육단이다. 그 규모는 함경북도가 1,000명 선이다. 평양시체육단 규모는 이보다 컸다고 하나, 북한이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도(직할시)체육단에는 각도와 직할시 인민위원회가 운영을 보장하는 평양시체육단·자강도체육단·개성시체육단·평북체육단·평남체육단·함북체육단·함남체육단·강원도체육단 등이 있다.


도체육단이나 중앙체육단은 선수들을 입촌시켜 잠자고 먹고 훈련을 시키는 입촌형 시설을 운영하며, 중앙체육단의 경우 선수들은 우리나라의 실업팀 선수처럼 급여를 받는다. 선발된 선수 모두에게 선수 등급기준에 따라서 급여를 차등 지불한다. 겸직체육단은 1977년부터 전국적으로 설치되었다. 3급수준 체육단이다. 도종합체육단과 겸직체육단의 실력 차이는 큰 것으로 보인다. 겸직선수단은 큰 공장에 주로 설치되어있다. 함경북도의 경우 약 10개 정도의 겸직체육단이 있었다고 한다. 겸직체육단은 말은 겸직이지만 전문선수 중 일부를 지원하는 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겸직선수들은 구락부나 고등 중학교를 졸업한 후 실력이 비교적 낮은 선수들 즉 전문체육단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훈련 기회를 부여하고 급이 낮은 각종 도 및 중앙경기에 참가할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다소 혼동되지만 국가종합체육단은 국가대표팀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국가대표팀 선수는 소속이 프로팀에 있거나 시청팀으로 되어 있다가 올림픽대회나 아시안게임을 할때는 국가대표가 되어서 대회에 나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도 기관차체육단에 소속된 선수가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를 앞두고 국가종합체육단이 구성되면 국가종합체육단 선수가 되어 대회에 나가는 식이다. 즉 국가종합체육단은 상시적으로 존재하는 체육단이 아니고 각 소속체육단에서 활동하다가 특정 시기 국제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 소집되어 만들어진 체육단인 셈이다.


한편 학생선수의 경우 학교 단위로 선수를 모아서 교육도 받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조선체육대학과 중앙체육학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들 학교의 학생체육단은 각각 조선체육대학체육단, 중앙체육학원체육단이라고 부른다.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