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직후 북한지역 정치 상황
글쓴이 : 관리자
날짜: 2006-03-19
카테고리:
역사
|
1945년 8월 일본이 패망하자 국내 정치세력들은 즉각적으로 각지에서 인민위원회를 구성하였는데 북한지역 읍 . 면단위 인민위원회는 1945년 11월 경까지 거의 완성되었다. 이렇게 성립된 각 인민위원회의 주도세력은 계급적 기반이나 이념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이 조직들이 좌익세력들에 의해 처음부터 모두 주도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북한의 중심인 평양에 조직된 건국준비위원회 평안남도 지부(평남건준)의 경우 위원장 조만식과 부위원장 오윤선이 모두 기독교 장로였고, 이주연, 김광진, 한재덕을 제외한 대부분은 기독교인과 우익인사들이었다. 8월 하순에 평남건준이 평남 인민정치위원회로 명칭이 고쳐지고, 간부구성이 개편되어 공산당측 간부가 반수가 되었지만, 조만식의 권위와 영향력은 소련군도 인정하는 상황이었다.
평남 인민위원회는 초기 넉달동안 조만식이 가진 정치적 위상을 바탕으로 북한의 준정부적 기능을 수행하였고, 10월 3일에 로마넨코 소장을 수반으로 발족한 민정국은 소련의 대북한 정책을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 10-11월에 조직된 행정 10국이 소련군 사령부 밑에서 중앙권력기관의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행정 10국의 각 국 국장에는 공산당, 독립동맹, 무소속, 민주당이 망라되었다. 이처럼 해방후 북한에서는 소련군과 한국인간의 타협하에 정치상황이 전개되었다.
평양 지역과는 달리 동해안 지역은 좌익인사들이 처음부터 인민위원회를 주도하여 소련군과 긴밀하게 연계되었으며, 중요한 우익정치조직은 거의 없어서 강원도(38이북지역)는 1945년 11월 시점에 좌익 성향의 인민위원회가 상당히 안정된 정부기관으로 기능하였다. 다른 지역의 실정도 모두 평안남도나 강원도의 성격 범위안에 있었지만, 공산당이 북한의 모든 지역에 대한 충분한 주도권을 장악하지는 못한 것이 1945년 말까지의 실정이었다.
<필자 : 이주철> |
|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