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김용준, 조선화, 1957)

월북 미술가의 활동


 


1945년 8·15 광복과 민족해방은 이내 38선을 경계로 한 남북분단으로 이어져 남쪽은 자유민주주와 자본주의 정치체제로, 그리고 북쪽은 혁명적 공산주의 체제를 지향했다. 그 대립상황에서, 그리고 특히 동족상잔의 6·25전쟁 때 정치적 신념으로 또는 피치 못할 개인적 처지에서 월남 혹은 월북하게 된 사람들이 무수히 많았다.


남한에서 북한으로 넘어간 미술가들도 그 일면이었다. 그들은 196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다같이 북한의 사회주의 미술 발전과 후진 양성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정종여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개인주의적 자유사상의 잔재를 비판받으며 위치가 약화되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전까지 그들은 모두 당의 문예정책에 충실하려 했고, 특정한 주제작품으로 김일성 수령과 당에 충성을 나타내려고도 했다. 다음은 대표적인 월북 미술가의 작품실태이다.


 


1) 조선화가


정종여(1914∼1984)


- 공훈예술가, 인민예술가 칭호. 조선미술가동맹 부위원장 역임


- 주요작품: 〈2차로 서울을 해방한 인민군〉(1951), 〈5월의 농촌〉(1956), 〈고성 인민들의 전선원호〉(1958)


 


리석호(1904∼1971)


- 평양미술대학 조선화과 교원 역임


- 주요작품: 〈영용한 고사포병대〉(1951), 〈중국인민지원군을 맞이하는 농민〉(1952), 〈소나무〉(1966)


 


김용준(1904∼1967)


-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강좌장 역임


- 주요작품: 〈침략자의 만행〉(1951), 〈공화국 헌법을 지지하는 인민들〉(1956), 〈춤〉(1957), 〈강선제강소를 현지지도하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1963)











누구 키가 더 큰가?(정현웅, 수채화, 1963)

2) 유화가


 


김주경(1902∼1981)


- 평양미술대학 교장 역임


- 주요작품: 〈적과 싸우는 고사포 용사들〉(1951), 〈삼지연의 봄〉(1962), 〈청년공원〉(1965)


 


길진섭(1907∼197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기(1948) 대의원, 평양미술학교 교원, 조선미술가동맹 부위원장 역임


- 주요작품: 〈또다시 조국진군의 길에 오르신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1955), 〈종달새가 운다〉(1957), 〈전쟁이 끝난 강선 땅에서〉(1961, 제자들과 합작)


 


정현웅(1911∼1976)


- 국립미술제작소 회화부장, 조선미술가동맹 출판화분과 위원장 역임


- 주요작품: 〈이순신 장군 한산도 해전〉(1955), 〈누구 키가 더 큰가?〉(1963, 수채화), 〈3·1운동을 목격하시는 김일성 원수님〉(1968, 조선화)


 


리쾌대(1913∼1969)


- 건설성미술제작소, 조선미술가동맹 평양시와 자강도위원회에서 활동


- 주요작품: 〈대대장고지 방어 전투〉(1955), 〈농악〉(1957), 〈중국인민지원군 우의탑 벽화〉(1958, 같은 월북화가 김진항과 합작), 〈방목〉(1961)


 


최재덕(1915∼?)


- 주요작품: 〈군대를 원호하는 인민들〉(1953), 〈용해공〉(1958), 〈사과 따는 처녀〉(1961)


 


쪾김만형(1916∼1984)


- 중앙미술제작소 부장, 조선미술가동맹 평양북도위원장 역임


- 주요작품: 〈전선에서 온 전투영웅들과 담화하시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1952), 〈쇳물을 붓는 사람들〉(1957), 〈혁명의 승리가 보인다〉(1962)


 


3) 조각가


조규봉(1917∼1997)


- 평양미술대학 조각학부장 역임


- 주요작품: 〈수확의 기쁨〉(1952), 〈김일성 원수 반신상〉(1954, 같은 월북조각가 리국전과 합작), 〈남녘 땅의 어머니〉(1961)


 


김정수(1917∼1997)


- 평양미술대학 교원 역임


- 주요작품: 〈탄부〉(1947), 〈혁명투사 마동희 동지〉(1965), 〈전선을 시찰하시는 최고사령관 김일성 동지〉(1967)


 


리국전(1915∼?)


- 교통성미술제작소 제작부장, 평야미술대학 교원 역임


- 주요작품 〈여성 복구대〉(1953), 〈농민〉(1956), 〈주물공〉(1961)


 


 


<필자 : 이구열 소장>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