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01


북한의 문학


1. 북한의 문학조직 10
2. 북한문학의 창작방법 11
3. 북한의 문학잡지 13
4. 해방직후의 북한문학(1945~1948) 13
5. 냉전과 북한문학(1948~1953) 16
6. 전후의 북한문학(1953~1958) 17
7. 천리마 시대의 북한문학(1959~1967) 20
8. 주체시대의 북한문학(1967~1980) 24
9. 숨은 영웅과 북한문학(1980~1989) 28
10. 고난의 행군과 북한문학(1990~현재) 33
11. 북한의 대표적 소설가 34
12. 북한의 대표적 시인  42
13. 연애를 다룬 작품 46
14. 도시와 농촌의 관계를 다룬 작품 48
15. 고난의 행군을 다룬 작품 49
16. 여성문제를 다룬 작품 51
17. 관료주의를 다룬 작품 52
18. 교육현장을 다룬 작품 53
19. 세대 간의 갈등을 다룬 작품 54
20. ‘불멸의 역사 총서’란 무엇인가 56
21. 6.15민족문학인협회 57
  


 


 


 


02


북한의 음악


 1. 음악예술론 60
2. 음악정치 62
3. 조선음악가동맹 63
4. 북한 음악의 시대별 변천사 65
5. 국가 67
6. 음악소조 68
7. 음악형식 70
8. 개량악기 71
9. 음악가 양성 73
10. 송가 및 수령형상음악 75
11. 전통음악의 현황 76
12. 음악단, 악단 78
13. 북한 인민의 애창가요 80
14. 북한의 인기가수 83
15. 북한에서 인기 있는 남한노래 84
16.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래 86
17. 윤이상 음악연구소 88
18. 발성법과 창법 89
19. 대표적인 음악가 90
20. 남북음악용어 비교 93
21. 남북음악교류 94
22. 북한의 노래를 총 집대성한 『조선노래대전집』 96
23. 뉴욕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북한 공연 98
24. 북한의 기악곡 99
25. 북한의 동요 100


 


 


 


03


북한의 공연


 


1. 북한의 공연 기획 104
2. 북한의 공연 장르 106
3. 중앙 공연단체 108
4. 비전문 공연단체 115
5. 북한의 공연예술의 형식적 특성 116
6. 창작 과정 120
7. 공연시설 121
8. 공연예술 교육 125
9. 가극 128
10. 가극혁명(歌劇革命)과 ‘〈피바다〉식 가극’ 130
11. 5대 혁명가극 131
12. 북한의 무용 132
13. 자모식 무용표기법 135
14. 4대혁명무용  136
15. 연극혁명과 〈성황당〉식 혁명연극 138
16. 북한의 연극(演劇) 140
17. 북한의 교예(巧藝) 142
18.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143
19. 정례화 되고 있는 〈아리랑〉 공연 145
20. 리모델링으로 새단장 중인 북한의 공연장 147
21. 조선예술영화촬영소와 문화성혁명사적관 149
22. 북한 공연예술에서 희극 장르 현황 150


 


 


 


04


북한의 영화


1. 영화예술론 154
2. 김정일과 영화  156
3. 조선영화인동맹 157
4. 영화제작시설과 기술  159
5. 영화제작체계  161
6. 영화 보관, 보급, 상영 체계   163
7. 영화 촬영소  165
8. 예술영화  167
9. 기록영화  170
10. 과학영화  172
11. 아동영화  173
12. 북한의 영화제 175
13. 북한 영화의 국제교류 176
14. 북한의 대표적인 감독  178
15. 북한 영화의 약사  181
16. 북한 영화 베스트 10 191




 


 


 
05
북한의 건축



1. 북한의 건축, 변천과정 196
2. 북한의 건축양식 198
3.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건축 199
4. 민족 전통주의 건축 201
5. 사회주의 우월성을 표현하는 건축 203
6. 독특한 형태를 강조하는 조형주의 건축 205
7. 기념탑 건축에 담긴 사회주의 207
8. 사회주의 국가의 도시계획 209
9. 평양을 사회주의 모범도시로 꾸미기 211
10. 독특한 평양의 도시계획 212
11. 새로 개발된 평양의 거리들 214
12. 북한의 살림집 217
13. 평양의 아파트 218
14. 북한의 농촌주택 221
15. 북한 대학의 건축교육 223
16. 중국에서도 소문난 평양의 건설건재대학 224
17. 북한의 건축가와 설계사업소 226
18. 김일성 주석이 사랑했던 건축가 김정희 228
19. 김정일 위원장의 건축에 대한 생각 229
20. 재미있는 북한의 건축용어 231


 


 



06
북한의  체육



1. 북한의 체육정책 236
2. 업간(사이)체조와 아침 운동   238
3. 인기 운동종목 239
4. 인민체력검정 241
5. 역대 올림픽 참가와 성적 242
6. 실력 있는 종목 : 여자배구, 탁구, 레슬링 245
7. 축구와 여자축구 247
8. 농구와 키크기운동 249
9. 태권도와 태권도전당  250
10. 집단체조와 예술체조  252
11. 90년대의 스타 플레이어  253
12. 스포츠와 방송 및 영화  255
13. 프로스포츠 256
14. 체육시설과 운동용품 258
15. 체육용어, 경기용어 259
16. 민속경기와 여가스포츠  261
17. 국제 스포츠교류  262
18. 남북체육 교류  263
19. 유명 체육지도자  265
20. 역도산과 이노끼 267
21. 유도스타 계순희 268
22. 엘리트선수들의 구원 투수, 체육과학원 체육의학연구소 270
23. 남한의 연고전과 북한의 김일성대학 대 김책대학전 272
24. 세계를 평정한 북한 여자권투 273
25. 북한의 체육지도위원회와 올림픽위원회 274
26. 체육소조와 청소년체육학교 276
27. 국가종합체육단(국가대표팀) 279


 


 


 


07
북한의 미술


 


1. 북한 미술 50년의 특징 284
2. 북한의 산업미술  286
3. 북한의 미술 용어와 풀이 288
4. 월북 미술가의 활동 290
5. 선전화 : 정치선전과 대중선동 293
6. 유화·조각·판화   295
7. 조선화 – 주체미술의 기본  296
8. 기념비 미술   298
9. 사회주의 건설 주제 작품   300
10. 수령과 지도자 형상 작품 302
11. 대표적인 미술작품  304
12. 인민예술가·공훈예술가  306
13. 집체작  307
14. 만수대창작사    309
15. 국가미술전람회  310
16. 평양미술대학과 미술가 양성   312
17. 조선미술가동맹  313
18. 『김정일 미술론』과 주체의 미학관  315
19. 김일성의 미술 관계 교시와 주체주의   316
20. 북한의 미술정책 – 주체미술      317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