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국민 통일의식 조사
1부 2010년 국민 통일의식 조사
1장 조사 개요
2장 조사 결과
▶ 조사의 주요 결과 및 의미
1. 북한에 대한 인식
1-1. 북한의 정권에 대한 인식
1-2. 북한에 대한 인식
1-3.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
1-4. 금강산관광 사업
2. 남북통일에 대한 인식
2-1. 통일에 대한 관심 정도
2-2. 통일에 대한 인식
2-3. 통일에 대한 우려 사항
2-4. 통일을 위한 선결과제
2-5. 통일에 도움이 되는 국가
2-6. 통일비용 개인부담
2-7. 통일 시기
3. 북핵문제에 대한 인식
3-1. 북핵문제에 대한 전망
3-2. 북핵문제 해결의 돌파구
3-3. 북핵문제와 남북경협의 연계
4.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
4-1. 6.15 남북정상회담의 성과
4-2.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찬반
4-3. 현 정부의 대북정책 평가
4-4. 천안함 사건과 남북교역 연계
4-5. 최근 안보상황에 대한 평가
부록. 1부 통계표
2부 국민 통일의식 변화 추이(1999-2010년)
1. 머리말
2. 주요 주제별 의식 변화
1) 북한(정권)에 대한 인식
2)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3) 북한의 변화에 대한 인식
4)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
5) 금강산관광사업
6) 남북경협
7) 통일에 대한 관심
8) 통일에 대한 인식
9) 통일을 위한 선결과제
10) 통일에 도움이 되는 국가
11) 통일비용 개인부담
12) 통일 시기에 대한 인식
13) 북핵문제에 대한 인식
14)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성과
15) 김대중.노무현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찬반 여부
16)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찬반 여부
17) 현 정부의 대북정책평가
3. 주요 내용 요약
2010 KBS 국민 통일의식 조사 결과 (요약)
▣ 개성공단사업과 같은 남북한 경제협력에 대해서는 ‘소규모 경제협력도 연계해야 한다’는 응답이 41.8%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북핵문제와 연계해서는 안 된다’는 36.4%였으며, ‘대규모의 경제협력만 연계해야 한다’는 21.9%였음.
▶ 2005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2005년에는 ‘북핵문제와 연계해서는 안 된다’가 54.0%로 가장 응답이 많았던 반면, 2010년에는 ‘소규모 경제협력도 연계해야 한다’가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 6.15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성과가 없다’는 응답은 57.3%였으며(별로 성과가 없다 47.5% + 전혀 성과가 없다 9.8%), ‘성과가 있다’는 응답은 42.8%였음(어느 정도 성과가 있다 34.6% + 매우 성과가 크다 8.2%).
▣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한다’(49.9%)는 응답과 ‘반대한다’ (50.1%)는 응답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음. 한편, 현 정부의 대북에 대한 정책 평가는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보다 ‘못한다’(42.6%)는 평가가 많았음. ‘잘한다’는 응답은 35.5%였으며, ‘비슷하다’는 응답은 21.9%였음.
▶ 2005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이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보다 ↓18.4%p 하락하였음(2005년 68.3%→ 2010년 49.9%).
▣ 향후 남북교역을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소규모 남북교역도 연계해야 한다’는 응답이 39.9%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서는 안 된다’가 35.2%로 뒤를 이었음. ‘대규모의 남북교역만 연계해야 한다’는 24.9%였음.
▣ 최근 안보상황에 대해서 전체 응답자의 78.1%가 ‘불안하다’고 답했음(매우 불안 18.6% + 어느 정도 불안 59.5%).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은 21.9%였음(별로 불안하지 않음 13.2% + 전혀 불안하지 않음 8.7%).
< 보고서 원문은 첨부화일을 참고해 주십시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