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 분류의 개념
경제 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이 직업분류이며, 국내 직업구조 및 실태에 맞도록 표준화한 것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는 직업들을 크게 11개로 대분류하고 있다.
- 한국표준직업의 대분류
①의회의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법률과 규칙을 제정하고 정부를 대표, 대리하며 정부 및 특수이익단체의 정책을 결정하고 이에 대해 지휘 조언한다.
②전문가
물리, 생명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과학적 개념과 이론을 응용하여 해당 분야를 연구, 개발 및 개선한다. 또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이용하여 의료진료 활동과 각급 학교 학생을 지도하고 예술적인 창작활동을 수행한다.
③기술공 및 준 전문가
하나 이상의 물리, 생명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기술적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전문가의 지휘하에 조사, 연구 및 의료, 경영, 상품거래 등에 관련된 기술적인 업무와 활동을 수행한다.
④사무 종사자
관리자, 전문가 및 준 전문가를 보조하여 경영방침에 의해 사업계획을 입안하고 계획에 따라 업무추진을 수행한다.
⑤서비스 종사자
개인보호, 이용, 미용, 조리 및 신변보호 등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⑥판매 종사자
도소매 상점이나 유사 사업체 또는 거리 및 공공장소에서 상품을 판매하며, 상품을 광고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⑦농업, 임업, 어업 숙련 종사자
농산물, 임산물 및 수산물의 생산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전답작물 혹은 과수작물을 수확, 재배하고 동물을 번식, 사육하며 산림을 경작, 보존, 개발한다.
⑧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광공업, 건설업 분야에서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여 금속을 성형하고 각종 기계를 설치 및 정비한다. 작업은 손과 공구를 사용하며 이러한 업무는 생산과정의 모든 공정과 사용되는 재료, 최종 제품에 관련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⑨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대규모적이고 때로는 고도의 자동화된 산업용 기계 및 장비를 조작하고 부분품을 가지고 제품을 조립하는 업무에 종사한다. 작업은 기계조작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기계제어 등 기술적 혁신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기계 및 장비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요구된다.
⑩ 단순노무 종사자
주로 수공구를 사용해서 단순하고 일상적인 일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상당한 육체적 노력이 요구되고, 거의 제한된 창의와 판단만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⑪ 군인
의무복무중인 사병을 제외하고 현재 군복무에 종사하는 자로 민간 고용이 자유롭지 못한 자를 말한다.
직업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