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 : 정 영 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선임연구원)
[ 목 차 ]
1. 연구의 목적
2. 사회통제 이론과 북한의 사회체제
1) 사회통제의 일반 이론
2) 북한 사회체제와 사회통제 기제
3. 북한의 사회통제 유형과 조직생활
1) 당의 사상·조직적 통제
2) 법적·물리적 통제
3) 물질적 통제
4. 1990년대 사회통합의 위기: 당과 국가의 위기
1) 1990년대 북한 사회의 위기: 정치·경제적 위기
2) 사회통제력의 약화: 사회통합의 위기
3) 사회적 일탈현상과 통제의 무기력
5. 조직생활의 복원과 사회통제: 선군정치와 국가체제의 정비
1) 선군정치의 사회적 의미
2) 국가체제와 사회체제의 정비: 강성대국론의 등장
3) 사회통제 체제의 변화
6. 사회통제와 조직생활의 변화: 7.1 조치 이후
1) 실리주의 경제생활의 제도화
2) 개인주의의 강화와 물질주의의 확산
3) 조직생활의 복원과 변화
7. 결론: 북한 사회체제 변화의 의미
■ [제1장] 사회통제와 조직생활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