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러나 평년작을 넘는 생산량으로도 주민들의 굶주림을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북한 실정이다. 북한의 식량 수요량은 단순 식용만으로도 최소 510만 톤 이상이고 가공용·사료용 등을 포함할 때는 550만 톤을 상회한다. 최소 소비량만 추정하더라도 100만 톤 이상이 부족한 셈이다. 이는 북한 주민의 3개월 분 식량에 해당하는 양이다.
북한의 식량 생산량이 400만 톤 이하로 떨어지면 식량 절대부족의 징후가 사회 곳곳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그 심각성이 외부에 알려진다. 지난 1995∼98년처럼 300만 톤 이하로 추락하면 외부의 인도적 지원에 상관없이 대량 기아와 아사자가 속출한다.
북한은 현재 경제침체와 식량난 속에서 북한 주민의 대부분이 최소한의 의식주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고난의 행군’(1995∼97) 시기에는 식량부족으로 인해 최소 100만 명에서 최대 200만 명 이상의 아사자가 발생했고, 대부분의 주민들은 풀과 나무껍질로 연명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약 500만 명(전체인구의 약 25%)이상이 기본적인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으며, 영양 실조와 질병 감염으로 인해 어린이와 노인들의 사망이 늘어나고 있다. 더구나 의약품 부족과 치료시설 낙후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질은 형편없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북한의 최수헌 외무성 부상이 중국 북경에서 열린 유엔아동기금(UNICEF)회의(2001.5.15.)에서 발표한 1990년대 북한의 기근에 관한 보고서에 북한의 식량난이 미친 결과가 어느 정도인지 잘 드러나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식량난과 약품부족으로 평균수명이 1993년 73.2세에서 1999년 66.8세로 6년 가량 줄었으며, 인구 1천 명당 5세 이상 아동 사망자 수가 27명에서 48명으로 늘어났다. 출생률은 2.2%에서 2% 이하로 줄었으며, 1인당 국민소득은 991달러에서 457달러로 감소하고 있다.
북한의 식량난이 악화되고 있던 시기에 북한 주민들의 참상을 직접 조사(1995.8.∼1998.3.)한 결과를 통해서도 최악의 기근 사태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 수 있다. 가족구성원의 총수와 가족 중 사망자수를 단순히 비교한 가족 사망률이 평균 27%에 달하고 있으며, 특히 9세 이하 유아 및 어린이의 사망률이 37%로 나타나고 있다. 3세 이하의 사망률은 50%를 넘어섰고, 60대 이상 노인 층의 사망률도 매우 높게 나타나는 등 취약 계층의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나 있다. 아울러 10대 이상과 50대 이하의 사망률도 꾸준히 증가하여 취약 계층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연도별 사망률이 1996년도 8.43%, 1997년도 17.97%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 볼 때 함경남도의 피해상태가 어느 곳보다 심각하며, 도시지역 뿐 아니라 농촌지역의 기근상태 또한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으며, 북한 사회에서 식량난을 직접적으로 겪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졌던 농민, 당원, 군인까지도 기아상태에 놓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시기 탈북한 동포들의 가족구성원 중 사망자의 사망원인은 아사 36.9%, 아사와 질병 10.5%, 질병 42.6%로 나타났으며, 살아 있는 사람들도 식량부족과 이에 따른 영양실조, 결핵, 파라티푸스, 장티푸스 등 각종 질병 등으로 엄청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만성적으로 식량부족을 겪는 가장 큰 원인은 북한 자체에 있다. 즉 첫째, 주체농법에 의한 농업생산력 격감과 집단농장의 비효율적인 농업운영 둘째, 상습적으로 냉해가 존재하는 자연적 조건 셋째, 황해도 일대의 평야지대를 제외하고는 평지보다 산지가 압도적으로 많은 불리한 지형적 영농조건 넷째, 영농장비와 기술의 낙후 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식량생산성의 정체 내지 감소 경향 다섯째, 지나친 농지개간사업으로 인한 산야 황폐화로 홍수 등 자연재해의 피해를 겪는 것 등이다.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경제작동 운용체계를 기존의 소비자 중심에서 생산자 중심으로 바꾸고 있고 개인의 이윤 동기를 자극하는 방안을 새롭게 도입하고 있지만, 만성적인 식량난을 얼마나 해소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